사르트르는 인식의 층위를 논하는데
1층위는 내가 생각하는 나
2층위는 타인이' 실제로' 생각하는 나
3층위는 타인이 나에 대해 생각한다고 '내가 생각하는' 나
이렇게 돌고 도는 인식구분은 피행위자의 윤리학에서 중요해진다
우리는 멋대로 남을 구제해줄 수 있을 것인가? 개인의 최고선은 공동체적 최고선과 합치될 수 있을 것인가?
'인용 발췌 사료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완벽하지 않으면 죽는 바다 (0) | 2016.06.21 |
---|---|
존재론적 진리 (1) | 2016.06.15 |
마르크스의 참여 요청에 대한 프루동의 답신 (0) | 2015.12.20 |
어째서 유가(儒家)가 중국에 집권했을까? (0) | 2015.12.03 |
노동자들의 기쁨 (0) | 2015.12.03 |